반응형
반응형
미국의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기업으로, 정부 기관 및 기업을 대상으로 인공지능(AI) 기반 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제공
- 창업자 : 피터틸 (페이팔 공동창업자)
- '팔란티어'의 의미는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'천리안의 돌' 이름입니다.
- 반지의 제왕, 호빗의 작가인 톨킨의 팬을 톨키니스트라고 하는데요. 피터틸이 열렬한 톨키니스트라고 합니다. 피터 틸이 설립한 펀드 이름이 발라 벤처스, 미스릴 캐피탈이 있는데요. '발라'와 '미스릴'은 반지의 제왕 세계관에 등장하는 개념이라고 합니다.
- 미국 부통령 밴스가 '미스릴 캐피탈'에서 활동했다고 합니다. 트럼프에게 밴스를 소개한 것도 피터틸이라고 합니다.
주가 동향
- 2024년 9월: S&P 500 지수에 편입되었으며, 주가는 14% 급등하며 52주 신고가를 경신
- 2024년 11월: 제프리스는 팔란티어의 높은 밸류에이션을 우려하며 투자의견을 '홀드'에서 '언더퍼폼'으로 하향 조정
- 지난해 가장 핫한 기업이었으나, 높은 밸류에이션과 내부자 매도 증가 등의 이슈로 투자 시 유의해야 함
주요 매출원
- 정부 부문 55%, 일반 기업 부문 45% 비율로 매출 발생
- 미 연방정부와의 계약을 10년 넘게 이어오고 있으며, 2024년에는 가장 많은 금액의 계약을 했습니다. 작년 한 해 6670만 달러의 계약을 했어요.
- 구독 및 클라우드 서비스 비율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
- 최근에는 AI 및 머신러닝 기능을 강화
Gotham – 국방 및 정보기관 특화 AI 분석 플랫폼
✅ 실시간 전장 정보 통합
- 위성 데이터, 드론 영상, 감청 데이터, 작전 보고서 등을 통합하여 군 지휘관이 전장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 가능
- AI 분석을 통해 적군의 움직임 예측 및 위협 감지
- 예시: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미군이 Palantir Gotham을 활용해 러시아군의 병력 이동을 추적
✅ 표적 식별 및 테러 방지
- CCTV, 감청 데이터, 인터넷 기록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잠재적 위협 요소 식별
- 예시: CIA가 Gotham을 활용하여 오사마 빈 라덴의 위치 추적
✅ 사이버 보안 및 사이버전 대응
- 해킹 공격 탐지, 보안 위협 예측, 적국의 사이버 공격 패턴 분석
- 국방부 및 NSA와 협력하여 국가 기반시설(전력망, 통신망) 보호
✅ 군사 공급망 및 병참 지원
- 군수품·연료·병력 이동 데이터 분석을 통해 최적의 병참 시스템 구축
- 예시: 미군이 팔란티어 소프트웨어로 아프가니스탄에서 군수품 보급 루트를 최적화
✅ 드론 및 정찰 데이터 분석
- 드론·위성 영상 데이터를 자동 분석하여 적군의 활동 패턴을 파악
- AI 기반 영상 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신속한 표적 탐색 및 타격 가능
프로젝트 메이븐
- 국방부가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활용해서 실제 전투에 활용할 수 있는 팀을 만들자는 계획
- 데이터와 AI를 융합하여 군사 작전 수행 능력을 증가시키는 펜타곤 프로젝트
- 무인 드론의 정밀도를 높이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했으며, 이를 구글과 진행하려고 했습니다. 구글 직원들이 거세게 반발했지만 강행되었고, 구글 직원 4000명은 구글의 AI를 국방부에 제공하지 말라는 청원을 하기도 했습니다. 결국 이 프로젝트는 중단되었습니다.
- 하지만 팔란티어가 이어받아서 프로젝트 메이븐을 거의 완성시켰다고 합니다.
- AI 연구자들은 기술이 사람을 해칠 수도 있다고 생각하고 우려하였습니다.
- 수많은 AI 연구자들, 기관들은 '치명적인 자율 무기 서약'에 서명을 하기 시작했습니다.
- 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Lethal_autonomous_weapon
Lethal autonomous weapon - Wikipedia
From Wikipedia, the free encyclopedia Autonomous military technology system Serbian Land Rover Defender towing trailer with "Miloš" tracked combat robot Lethal autonomous weapons (LAWs) are a type of autonomous military system that can independently searc
en.wikipedia.org
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후 판이 뒤집히다.
- 그러나 이러한 흐름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바뀌게 되었습니다.
- 전쟁 발생 후 팔란티어는 즉시 유럽 각국 지도자들에게 공개 서한을 보냈습니다. '유럽 안보 위기를 실리콘밸리 방산 기술을 바탕으로 현대화해라'라는 것이었죠.
- 유럽이 만약 러시아에게 침공을 당하면 NATO 조약에 따라 미국도 대응을 해야합니다. NATO 방위비는 미국이 유럽보다 더 많이 내고 있습니다.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는 마음에 들지 않겠죠?
- 23년 유럽 39개국은 전년대비 군사비 지출을 평균 16% 올렸습니다. 유럽 내 방산 기술 스타트업 투자 규모도 24년 52억 달러로 최고치를 돌파했습니다.
- 미국의 '안두릴', 독일의'헬싱' 이라는 방산 기술 스타트업이 투자를 크게 받았습니다. 팔란티어도 안두릴이라는 기업에 투자를 했다고 합니다.
AI 전쟁 민간인 희생자가 늘었다.
- AI 기술이 접목된 무기는 러시아-우크라이나 전쟁에 바로 활용되었습니다. 얼마 전에 러시아 병사를 드론이 발견해서 쏴 죽이는 영상이 올라왔었는데요. 기술의 발전이 정말 무섭더라고요.
- https://youtube.com/shorts/ksrwBBl2ns8?si=-tc-ekDdw5-0IQQC
- 이스라엘 - 하마스 전쟁에서는 라벤더 AI를 활용했는데요. 공격 목표물이 될 하마스 요원을 AI로 분류해서 죽이는 것입니다.
- 하마스 요원의 특징을 학습시키고 팔레스타인 시민을 임의로 분류하게 되는데요. 라벤더의 오류율이 무려 10%라고 합니다. 이스라엘은 이를 알고 있었지만 그냥 넘겨버린 것입니다.
- 이 영향으로 역대 어느때보다 더 많은 민간인 사상자가 나오고 있습니다.
- 작년 9월까지 신원이 확인된 팔레스타인 사망자가 34,000명인데, 이중 어린이가 33.1% 였다고 합니다... 이중 30%는 여성과 노인이었다고 합니다.
REAIM : AI의 책임있는 군사적 활용 논의
- 방산기업에 대한 규제를 하고 AI 기술을 윤리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.
- 전쟁에서 AI를 사용하더라도, 민간인이 타깃이 되어서는 안 되고 무력 충돌 과정에서 민간인을 보호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.
- 24년 REAIM은 서울에서 진행되었고, 총 61개국이 참여하였습니다.
- 하지만 이러한 논의는 결의안일 뿐, 법적으로 강제할 수는 없고 미국-러시아 같은 강대국들은 굳이 새로운 국제법이 필요하냐 하면서 반대를 하고 있습니다.
기업들의 동향
- 팔란티어는 미 국방부의 프로젝트 프로젝트 메이븐을 이어서 진행하여 거의 완성시켰다고 하고요.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도 참여하고 있다고 합니다.
- 구글의 경우 이스라엘의 '프로젝트 님버스'에 참여하고 있습니다. 팔레스타인 사람들을 감시하기 위해 사용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. 구글의 AI 분야 책임자는 데미스 허사비스인데요. 데미스 허사비스는 '치명적인 자율 무기 서약'에 서약을 했던 인물입니다.
- 오픈 AI의 샘 알트먼은 자사 모델을 무기개발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했었으나, 작년 12월 안두릴과 AI 개발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발표했어요.
- 이처럼 여러 AI 기업들은 방산 무기 개발 산업에 뛰어들고 있습니다.
기술의 발전은 우리에게 풍요와 편리함을 가져다주지만, 어떤 이에겐 절망적인 삶을 주는 것 같습니다. 앞으로 AI 무기와 방산 기업들이 성장할 것 같긴 한데, 투자를 하는 게 옳은 일은 아닐 것 같네요..

반응형
'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테슬라 주가 하락 원인 (0) | 2025.03.02 |
---|---|
엔비디아(NVDA) 주가 전망, 4분기 실적 발표 (0) | 2025.02.26 |
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관련주는? (0) | 2025.02.26 |
25년 테슬라 주가 전망 : 그록3로 인한 AI 시장 대중화 예상 (1) | 2025.02.23 |
2024년 엔케리 트레이드 청산의 원인과 경제에 미친 영향 (0) | 2025.02.23 |